-
[아기수면교육방법] 신생아 통잠 자는 시기 언제일까?육아 2023. 1. 19. 05:13
우리 아이 잠 좀 푹 자게 해주세요~ 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심지어 밤에 자다가 깨서 우는 경우도 많은데요.
이럴 때마다 부모님들은 너무 피곤해서 아침에 일어나기 힘들어하십니다.
그렇다면 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걸까요?
그리고 어떻게 하면 해결할 수 있을까요?
여기서 잠깐! 여러분 혹시 ‘통잠’이라는 단어 알고 계신가요?
바로 새벽에 깨지 않고 쭉 자는 걸 의미하는데요.
그럼 먼저 수면 패턴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고 이후 원인과 해결 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기 키우는 집이라면 공감하겠지만 재우는 일만큼 힘든 일도 없습니다.
오죽하면 육아 난이도 최상이라는 우스갯소리가 나왔을까요.ㅎㅎ
그나마 다행인 건 늦어도 생후 4개월 무렵부터는 규칙적인 수면 패턴이 형성된다는 점입니다.
이때부터 낮밤을 구분하여 일정한 시간에 재우고 깨워야 해요.
그래야 올바른 수면 습관을 들일 수 있기 때문이지요.
물론 쉽지는 않습니다.ㅠㅠ
어른과는 달리 아이들은 하루 종일 에너지가 넘치기 때문이라는데요.
따라서 낮잠 자는 시간을 이용해야 합니다.
보통 오전 11시쯤 1시간 정도 재우는데 이때 함께 자고 일어나면 컨디션이 좋아져 한결 수월해 집니다.
만약 여의치 않다면 저녁 8시 이전에 목욕을 시키고
분유를 먹인 뒤 잠자리에 들게 하는 방법도 좋아요.
그러면 자연스럽게 잠들 확률을 높이는 건데요.
이렇게 해도 잘 자지 않는다면 최후의 수단으로 백색소음을 활용하는 것도 좋아요.
빗소리나 파도 소리 또는 청소기 소리 등 잔잔한 소음을 들려주면
심리적 안정감을 느껴 쉽게 잠들 수 있다고 해요.
육아 전문가들은 아기 재우기 3단계 법칙이 있다고 해요.
첫 번째 단계 잠자리 환경 조성
두번째 조명을 어둡게 하고 소음을 차단
그리고 마지막 세 번째 단계는 잠들기 전 의식ㅎㅎ
목욕 후 마사지를 해주거나 자장가를 불러주는 식으로 일정한 행동을 반복하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자연스럽게 숙면을 유도할 수 있다고 해요.
물론 이러한 과정이 하루아침에 이루어지는 건 아니겠지만
적어도 백일 정도는 꾸준히 실천해야 서서히 변화가 생긴다고 해요.
따라서 인내심을 갖고 일관된 태도를 유지하는 게 중요합니다.
참고로 낮잠 시간 역시 규칙적으로 정해놓는 게 좋아요.
그래야 낮밤 가리지 않고 잘 잘 수 있기 때문이지요.
세상의 모든 엄마 아빠와 아기들이
모두 편안히 꿀잠자는 날까지 화이팅 해요.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생아 황달] 이란 무엇인가? 그 종류와 예방법 알아보기 (0) 2023.01.24 [육아정보]아기에게 꼭 필요한 애착인형 선택방법 & 관리법 (0) 2023.01.24 [아기독감] 고열증상부터 예방접종 관리 방법까지 (0) 2023.01.20 [아기 콧물] 신생아 노란콧물 원인 & 해결방법 (0) 2023.01.15 [육아정보]신생아 코막힘 해결방법 알아보기 (0) 2023.01.14